알림) 수출바우처 사업 (개별참가)
페이지 정보
조회 97회 작성일 25-01-17 23:24
본문
지원가능 분야 |
해외마케팅 : 브랜드 홍보, 동영상제작, 광고집행, 온라인플랫폼, 해외전시 참여등 |
시장조사 : 목표시장 분석, 수출전략 보고서 작성 |
수출컨설팅 : 무역실무, 계약지원, 진출전략 수립 |
인증 및 특허 : 해외인증취득, 지식재산권등록 |
물류지원 : 수출물류비 일부보조 |
번역 및 통역 서비스 : 해외거래 관련 통번역 서비스 |
지원금액 |
지원금액은 기업의 규모와 역량, 지원기관에 따라 차등 지급됩니다. |
(초기술기업->중간단계기업->수출성장형 기업) |
구체적인 금액은 평가결과 사업조건에 따라 달라지므로 각 지원기관별 확인. |
운영 및 수행기관 |
중소벤처기업부(MSS) : 전체 사업의 정책적 관리를 담당 |
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(KOTRA) : 사업실행 및 수출바우처 플랫폼 운영 |
한국무역협회(KITA) : 기업 지원 및 서비스관리 |
** 중소기업진흥공단(원클릭) : 고객제출서류 간소화 서비스
** 국고지원전시회 (개별, 단체)주요전시포털(산업부-KOTRA) : www.gep.or.kr
** 국고지원전시회 (개별, 단체) 주요전시포털(중기부-중소기업중앙회) : https://www.smes.go.kr/sme-expo/site/main/home.do
** 한국전시산업진흥회 : https://www.akei.or.kr/bbs/board.php?bo_table=schedule#none
** 수출바우처 : 중기부-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(https://www.exportvoucher.com/)
산업부-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(무역투자 24-수출바우처)
한국무역협회 https://membership.kita.net/fai/vouc/voucherList.do
**2024년 지자체별 중소기업 국내 전시회 참가비 지원사업(2024. 2. 28. 업데이트)
참고)https://www.sief.co.kr/fairBbs.do?selAction=view&FAIRMENU_IDX=5579&BOARD_IDX=56903&BOARD_NO=&selPageNo=1&hl=KOR
https://www.sief.co.kr/fairBbs.do?selAction=view&FAIRMENU_IDX=5579&BOARD_IDX=56903&BOARD_NO=&selPageNo=1&hl=KOR
수출바우처 수행기관 현황 :
https://www.exportvoucher.com/shipping/portal/peform/peformList?pageNo=2&peformOrgApplySeq=&active_menu_cd=JZ005001000&s_kor_comp_nm=&pageUnit=10
수출바우처 사업
각 정부부처 수출지원 사업간 칸막이를 제거하고, 중소·중견기업이 자사의 수출역량에 맞는 수출지원 서비스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도록 '바우처' 형태로 운영하는 사업입니다.
추진배경은? - 기업이 자사의 수출역량에 맞는 수출지원사업을 자유롭게 선택하여 효과적인 사업을 진행하도록 지원합니다. - 정부 부처 수출지원사업 간 칸막이를 제거하고 지원기관 서비스의 양적, 질적 제고를 유도합니다.- 무엇이 바뀌었나요?
- 수출바우처 사업이란?
- - 수출역량을 키우고픈 기업들이 자율적으로 수출지원서비스를 선택하여 활용할 수 있게 보조금을 바우처 형태로 지원
- 바우처의 구성
- - 정부는 선발과정을 거쳐 선정된 수출기업에 보조금을 바우처로 제공하고 있습니다. 기업이 일정액의 자비부담을 하면, 그에 상응하는 국가 보조금 을 정부에서 지급하고, 그 총액을 쿠폰 형태의 수출바우처로 지급하고 있습니다. 수출바우처를 받은 기업은 수출지원기반활용사업 포털 (www.exportvoucher.com)에서 수출업무에 필요한 서비스를 자유롭게 선택하여 구매하고 이용할 수 있습니다. 서비스를 수행하는 기관/기업도 직접 선택해서 수출에 필요한 업무를 맡깁니다.
- 참여가능 사업유형
- - 연중 한 번 바우처사업에 선정되면, 다른 사업유형으로는 신청할 수 없습니다.
- 구매가능 서비스
- - 참여기업이 활용할 수 있는 서비스들은 메뉴판에서 찾아보실 수 있습니다. 현재 메뉴판에는 총 14개 분야에 약 7,500여개의 서비스가 등록되어 있습니다.
- 보조금 지원한도
- - 수출역량, 업종에 따라 바우처 발급액에 차이가 있습니다. 정부예산을 효율적으로 쓰기 위해서, 상황에 맞춰 필요한 만큼의 보조금을 슬기롭게 지 원하기 위함입니다. 여러분의 회사가 어떤 카테고리에 들어가는지 살펴보시고, 정부로부터 최대 얼마만큼의 보조금(국고)을 받을 수 있는지, 또 자비부담은 얼마만큼 내야 하는지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.
- 지원대상은?
- - 아래 각 사업별로 선정된 기업을 대상으로 바우처를 발급합니다.
- - 단 선정기준, 국고보조율 등은 사업별로 상이합니다
-
소관부처 사업명 지원 대상 바우처 발급액
(국고+자비부담)국고 보조율 산업부 산업 글로벌 진출역량 강화사업
(소재·부품·장비 분야)· [진입] 2021-2023년 평균 매출액 10억원 미만
· [성장] 2021-2023년 평균 매출액 10억원 이상 100억원 미만
· [확장] 2021-2023년 평균 매출액 100억원 이상· [진입] 2천만원~5천만원 중 1천만원 단위로 택 1
· [성장] 2천만원~7천만원 중 1천만원 단위로 택 1
· [확장] 2천만원~1억원 중 1천만원 단위로 택 1· [중소] 70%
· [중견] 50%산업 글로벌 진출역량 강화사업
(그린 분야)· [진입] 2021-2023년 평균 매출액 10억원 미만
· [성장] 2021-2023년 평균 매출액 10억원 이상 100억원 미만
· [확장] 2021-2023년 평균 매출액 100억원 이상· [진입] 2천만원~5천만원 중 1천만원 단위로 택 1
· [성장] 2천만원~7천만원 중 1천만원 단위로 택 1
· [확장] 2천만원~1억원 중 1천만원 단위로 택 1· [중소] 70%
· [중견] 50%산업 글로벌 진출역량 강화사업
(소비재 분야)· [진입] 2021~2023년 평균 매출액 10억원 미만
· [성장] 2021~2023년 평균 매출액 10억원 이상 100억원 미만
· [확장] 2021~2023년 평균 매출액 100억원 이상· [진입] 2천만원~5천만원 중 1천만원 단위로 택 1
· [성장] 2천만원~5천만원 중 1천만원 단위로 택 1
· [확장] 2천만원~55백만원 중 1천만원 단위로 택 1· [중소] 70%
· [중견] 50%산업 글로벌 진출역량 강화사업
(서비스 분야)· [진입] 2021~2023년 평균 매출액 10억원 미만
· [성장] 2021~2023년 평균 매출액 10억원 이상 50억원 미만
· [확장] 2021~2023년 평균 매출액 50억원 이상· [진입] 2천만원~5천만원 중 1천만원 단위로 택 1
· [성장] 2천만원~5천만원 중 1천만원 단위로 택 1
· [확장] 2천만원~55백만원 중 1천만원 단위로 택 1· [중소] 70%
· [중견] 50%중견기업 글로벌 지원사업 · [내수중견] 중견기업 중 매출액 대비 수출 비중이 10%미만 이거나 수출액 1,000만 달러 미만
· [Jumping 중견글로벌] 예비중견기업
· [중견글로벌] WC300/WC Plus, 중견기업
· [Post 중견글로벌] ‘중견글로벌’ 5회 참가기업· [내수중견] 최대 1억원
· [Jumping중견글로벌] 최대 1억
· [중견글로벌] (중소) 최대 1.3억 / (중견) 최대 2억
· [Post중견글로벌] 최대 2억· 30~70%
* 지원요건별 상이 -
소관부처 사업명 지원 대상 보조금
지원한도국고 보조율 중기부 내수기업 전년도 수출실적이 없거나 1,000불 미만 기업 30백만원(튼튼한 내수기업의 경우 45백만원) 50~70% * 튼튼한 내수기업은 "내수기업" 신청기업중 역량 우수업체 선발 예정 초보기업 전년도 수출액 '1,000~10만불 미만' 30백만원 50~70% 유망기업 전년도 수출액 '10~100만불 미만' 45백만원 50~70% 성장기업 전년도 수출액 '100~500만불 미만' 70백만원 50~70% 강소기업 전년도 수출액 '500만불 이상' 100백만원 50~70%
- 지원내용은?
- - 수출바우처 사업에 선정된 기업은 아래 수출마케팅 서비스 메뉴판(예시)에서 필요한 서비스, 수행기관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.
-
서비스 메뉴판(예시) 대분류 정의 메뉴(예시) 조사/일반
컨설팅정보 조사 및 법무·세무·회계를 제외한 수출 관련 일반·컨설팅 지원 파트너·바이어·원부자재공급선 발굴조사, 해외시장조사, 소비자 리서치, 경쟁제품 동향조사, 해외기업 신용 및 기업실태 조사, 바이어DB 타겟 마케팅, 경영 멘토링, 기업 중장기 성장전략수립, 해외수출 전략수립 및 이행을 위한 포괄적 지원, 해외진출 및 마케팅 전략 컨설팅 등 조사/일반 컨설팅 분야 전반에 걸친 유사 서비스 통번역 수출을 위한 기업의 활동에 필요한 외국어 통번역 서비스 지원 계약/법률 문서, 소프트웨어콘텐츠, 게임/모바일App 콘텐츠, 비즈니스/기술문서, 홈페이지 번역 등 통번역 분야 전반에 걸친 유사 서비스
*단, 통·번역을 목적으로 하는 서비스로 제한함역량강화 교육 수출 역량강화를 위한 교육 제공 및 지원 무역실무, 글로벌마케터 양성, 비즈니스 회화, 전략시장 진출, 중국시장 e-러닝, 내부 역량강화, 전략물자, CP 실무자 과정, 글로벌 비즈니스 전문인력 육성, 해외시장 개척과정 교육, 지식재산권 출원 및 등록 과정, 지식재산권 분쟁 대응방안 등 수출 역량강화 교육 분야 전반에 걸친 유사 서비스 특허/지재권/
시험특허·지재권 취득, 시험 대행 등 해당 분야 전문 서비스 지원 지식재산권 등록, 특허·인증·시험·수출 IP 전략 컨설팅, 지재권 분쟁지원등 특허/지재권/시험 관련 분야 전반에 걸친 유사 서비스 서류대행/
현지등록수출·무역·현지진출 관련 필요 서류 작성 대행 및 현지 등록 지원 계약서 작성(지불조건 포함), 통관/선적 필요 서류 작성, 결제 관련 서류 작성, FTA 원산지 관련 서류 작성, 무역자동화 등 서류대행 및 현지법인·지사·대표처 등록, 현지 입점 대행, 공공조달 시장 진출지원, AEO 인증 인증획득지원 등 서류대행/현지등록 분야 전반에 걸친 유사 서비스. 홍보/광고 기업/제품/브랜드의 해외 마케팅을 위한 홍보 및 광고 지원 기업/제품/브랜드 관련 TV·PPL, 신문·잡지 홍보/광고, SNS·검색엔진 마케팅, 바이럴 마케팅, IMC 마케팅 등 광고 매체를 활용한 홍보/광고 분야 전반에 걸친 유사 서비스 브랜드 개발?관리 수출브랜드의 개발과 관리를 위한 마케팅 지원 수출브랜드, 네이밍, 온/오프라인 제품매뉴얼 제작, 브랜드 정품인증, 위변조방지 등 브랜드개발/관리 분야 전반에 걸친 유사 서비스 전시회/행사/
해외영업지원전시회/상담회/세미나 등 수출관련 행사 기획·지원 및 해외영업지원을 통한 수출 지원 국내개최 국제전시회 참가, 현지 바이어 매칭 상담회/세미나/제품시연회, 해외바이어 국내초청 미팅/설명회/세미나, 해외전시회 사전·사후 지원, 해외시장 산업설명회, 판촉전, 해외전시회 참가비용 사후정산, 세일즈랩, 해외프로젝트 수주지원 등 전시회/행사/해외영업지원 분야 전반에 걸친 유사 서비스 법무?세무?회계
컨설팅해외진출을 위한 법무·세무·회계 관련 전문 컨설팅 지원 회계감사, 세무조사, 세무자문, 법률자문, 법인설립, 해외현지 클레임 해결지원, 해외법인 설립지원 등 수출목적의 법무·세무·회계 컨설팅 분야 전반에 걸친 유사 서비스 디자인 개발 해외진출에 필요한 외국어 디자인 개발 지원 외국어 종이/전자 카탈로그 제작, 외국어 포장디자인, 외국어 홈페이지(반응형), 모바일용 앱, 해외 온라인 쇼핑몰 상품페이지, 제품디자인, CI 및 BI 개발 등 홍보 동영상 해외진출에 필요한 외국어 홍보동영상 개발 지원 외국어 홍보 동영상 제작 등 해외규격인증 해외규격인증 취득을 위한 시험·심사·인증 및 인증대행컨설팅 등 해당 분야 전문 서비스 지원
* 컨설팅비: 해외인증분야 수행기관 이용 시 제한적으로 컨설팅비 처리리해외인증비용 사후정산, 위생, 할랄 등 해외인증취득 및 등록 등 해외규격인증 분야 전반에 걸친 유사 서비스
* 단, 해외규격에 없는 일반 시험분야 제외
** 컨설팅비: 해외인증분야 수행기관 이용 시 제한적으로 컨설팅비 처리국제운송 수출자가 부담하는 국제운송비 수출자가 부담하는 국제운송료(해외·항공) 및 보험료(국내운임, 취급수수료 및 도착국 발생비용, 세금은 정산 제외) 무역보험·보증 수출대금 미회수, 환율변동에 따른 환차손 등 수출관련 위험 대응을 지원하여 수출 관련 위험 대응을 지원하여 수출기업의 글로블 시장진출 활동 지원 단기수출보험, 환변동보험, 수출신용보험(선적 전), 국외기업 신용조사, 해외채권 회수대행
* 타 정부부처, 지자체에서 비용의 일부를 지원받은 경우, 수출바우처로 지원 불가
- 진행절차는?
- - 수출바우처를 받기 위해서는 우선 바우처사업 참여기업으로 선정되어야 하고, 수출바우처포털 공지사항에 올라오는 각 세부사업별 참여기업 모집공고를 참고하시면 됩니다. 사업공고는 수출기업의 역량, 업종별로 구분된 다양한 사업유형이 연중 발표됩니다.
첨부파일
-
원클릭 고객제출서류 간소화 서비스.pdf (2.0M)
3회 다운로드 | DATE : 2025-01-18 00:06:28 -
1. [홈페이지안내] 매뉴얼_ver. 1.PDF (553.4K)
2회 다운로드 | DATE : 2025-01-18 00:06:28
관련링크
- 이전글홍보)KOIA] 2025년 안광학산업 지원사업 통합 설명회 25.01.24
- 다음글중기부)2025년 수출지원기반활용사업 참여기업 1차 모집공고(중기부 소관 수출바우처사업)안내 25.01.16